2025년 5월, 황금 연휴 가능할까?
근로자의 날을 기준으로 5월 초 최대 6일 연휴가 가능한 황금 연휴에 대해 논의되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근로자의 날 다음 날인 5월 2일 금요일이 임시 공휴일로 지정되느냐 하는 것인데요, 임시 공휴일이 지정되면 우리 사회 전반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5/2 임시공휴일 지정 장점
1. 움츠러들었던 국내 소비 진작 효과 발생
연휴가 길어지면서 여행, 쇼핑, 나들이 등 소비가 증가합니다. 특히나 해외 여행을 미리 기획하지 않고 있던 사람들은 가까운 국내 여행을 찾아 떠나거나 근교 나들이등 지역 관광과 전통 시장등 소비가 활발해 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전국민 휴식 기회 확대
OECD 국가 중 가장 많은 시간을 일로 보내는 우리 한국인들에게 오랜만의 재충전 기회가 주어집니다. 일하느라 챙기지 못했던 사람, 시간 등을 돌보며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가정의 달 분위기 상승
5월은 유난히 가족 행사가 많은 달입니다. 특별한 이벤트가 없더라도 가족과 시간을 보내려는 움직임이 많아지며 자녀 또는 부모님과 함께하는 나들이, 소비 활동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5/2 임시공휴일 지정 단점
1. 중소기업, 소상공인 부담 증가
다수에게는 긴 연휴가 형성되지만 일부 업종은 공휴일에 오히려 매출 저하, 인건비 상승 등의 문제가 발생합니다. 특히나 유통, 제조업 분야는 생산력 저하가 우려되며 관광객이 선호하지 않는 지역에 위치한 자영업자, 소상공인 등은 매출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2. 계획된 교육일정 차질
갑작스런 임시 공휴일 지정으로 초중고 교과 과정 운영에 변동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미리 계획했던 학사 일정등이 변동되면 수업일수 확보, 방학 일정, 시험 일정 등 여러 방면의 도미노형태로 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공공서비스 공백
임시 공휴일이 가정 뚜렷하게 지켜지는 것은 관공서를 비롯한 공공기관입니다. 시민들의 눈과 발이 되어주는 관공서와 병원 등이 오랜 시간 연휴에 들어가면 필수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사람들의 불편이 다수 발생할 수 있습니다.
Tags:
holiday